2018 인구 절벽이 온다 - 해리 덴트
2018 인구 절벽이 온다는 해리 덴트의 저서로 인구가 줄어들면 벌어질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해리 덴트는 은행이 멈추는 날(제임스 리카즈)의 저자와 비슷한 비관주의자로 보이는데 그의 대한 대응책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해리 덴트는 디플레이션 준비, 금 신봉하는 자를 황금충이라 하며 금 가격은 유례없는 폭락할 것이라고 했고, 제임스 리카즈는 초인플레이션 대비, 금과 은 등의 유형자산이 꼭 필요하다고 역설합니다.
이렇듯 비슷한 비관주의자라도 대응책이 다르고 추구하는 바가 다르니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야 합니다.
일단 책으로 돌아가서 저자는 인구 절벽과 함께 소비 절벽이 온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각 세대별로 소비하는 양상이 다른데 인구가 최고조였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구가 줄어들면 뒤따르던 인구가 기존 소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게 요지입니다.
그 인구 절벽의 시기가 나라별로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 2018 인구 절벽이 온다는 제목으로 출판이 된 것은 "한국의 가장 위험한 시기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그리고 2018년과 2019년이다."라고 저자가 주장한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저자의 예측이 모두 맞았던 것도 다 틀렸던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저자가 인구 절벽 후에 자신의 자산을 지키는 방법으로 제시한 방법은 주목할만합니다.
저자가 이 책에서 추천한 방법을 몇 가지 옮깁니다.
전 세계 증시가 연쇄적으로 급락한 뒤 전반적으로 선진국 특히 미국에서 투자 유망한 곳은 "헬스케어, 병원, 의료기기, 바이오기술, 제약, 비타민, 체중 감량, 레저용 차량, 크루즈 선박, 생명보험, 의료보험, 요양원, 노약자 지원시설, 장례" 등을 추천합니다.
투자는 시장점유율 10퍼센트에 도달하는 제품에 해야 하며, 10~40퍼센트는 마케팅, 유통 관리, 판매가 더 중요 <시장 확장이 중요>하게 투자하고 있는지, 제품은 15초 이내 눈길을 사로잡을 문구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고객은 3주마다 한 번씩 기업의 소식을 듣길 원하므로 기업이 고객의 니즈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중요합니다.
그리고 기업이 소비 절벽의 시대에 취해야 할 자세로는 5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1.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라.
2. 고객을 정의하고 특징에 따라 세분화하라.
3. 각 고객별로 최전방 브라우저(집사)와 후방 서버를 배치하라.
4. 전후방 모든 조직이 손익을 가진 하나의 사업체처럼 움직여라.
5. 경영진은 네트워크 설계자이자 법적 중재자다.
이렇듯 저자는 위험을 경고하고 준비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인구 절벽이 우리에게 꼭 위험하기만 한 것일까요?
또 다른 기회는 아닐까요?
**171124 타사 블로그에 올린 글입니다. 두 블로그를 운영하기엔 시간이 여의치 않아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나머지 글들도 옮겨올 예정입니다.
'책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에 휩쓸리지 않는 연습 - 틱낫한 (0) | 2018.04.30 |
---|---|
일의 미래,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오는가 - 선대인 (0) | 2018.04.24 |
악당의 명언 - 손호성 (0) | 2018.04.12 |
히트 메이커스 - 데릭 톰슨 (0) | 2018.04.04 |
비이성적 과열 - 로버트 쉴러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