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에 투자하는 방법
투자를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부동산, 주식, 채권, 현물, 외화 등 다양하지만 모든 곳에 투자하기란 불가능합니다.
그중 나에게 맞는 투자방법을 정하여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어떤 투자방법이 있다는 것은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오늘 알아볼 방법은 금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현물, 금 ETF, 금 펀드, 골드뱅킹 등이 있습니다.
우선 현물에 투자하는 방법은 가장 전통적이며 쉬운 방법이지만 수익이 15% 이상 나야 하는 상품입니다.
현물은 매입할 때 부가가치세 10%와 세공비 플러스알파입니다.
180424 기준으로 1돈 가격이 171,990.19원이라고 하더라도 우리가 시장에서 구입하는 비용은 시세랑 차이가 납니다.
현물을 구입할 때 투자의 목적으로 금을 산다면 보통 골드바를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골드바는 매도할 때 가장 이상적인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통 골드바는 세공비가 들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골드바도 세공비가 들어갑니다.
한 번에 10돈 이상의 금을 매입한다면 골드바가 이득입니다.
하지만 1돈씩 매입한다면 돌 반지가 이득입니다. 1돈일 경우 바의 세공비가 더 비싸기 때문입니다.
**기본 세공한 돌 반지를 매입할 경우
그리고 1돈씩 매입하여 매입 평균단가를 낮출 수도 있겠지요.
두 번째 방법은 금 ETF입니다.
금 ETF는 증권계좌로 거래 가능합니다.
ETF는 특정 주가 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수수료가 낮고 매수, 매도가 쉬우며 소액거래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물거래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세 번째 방법은 금 펀드입니다.
금 펀드는 해본 적이 없습니다만 최근에 재미있는 기사를 읽어서 링크해 드립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196323
네 번째 방법은 골드뱅킹입니다.
골드뱅킹은 은행이 고객들을 상대로 금을 사고파는 것으로, 금화나 금괴 등 금을 직접 사고파는 방식과 금통장, 금 증서 등 금을 주고받지 않고 증서상으로만 거래한 후 투자의 이익과 원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골드뱅킹은 계좌 거래를 통해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비과세로 매력적인 상품이었으나, 세법 개정으로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된다고 하니 투자 상품으로 가치가 예전만 못합니다.
2000년~2018년 현재까지의 금시세 차트입니다.
18년 전에 비하면 금값이 많이 올랐지만 앞으로도 금값이 계속 오른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나 시국이 불안할수록 금값은 올라갑니다.
투자의 방법은 여러 가지이며 그중 금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경제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으로 외화 거래하기 (0) | 2018.05.01 |
---|---|
예금은 예치기간이 길수록 좋을까? 매년 재예치하는 것이 좋을까? (0) | 2018.04.27 |
예금, 적금 계산하는 방법 (0) | 2018.04.20 |
인구 절벽? 지방 소멸? (0) | 2018.04.16 |
보험 이야기 (0) | 2018.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