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마켓에 참가해보고 느낀 점
액세서리나 가방 등 여러 가지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처음엔 취미로 시작했다가 물건의 질이 높아지면 판매를 생각하게 됩니다. 그중 가장 쉬워 보이는 것이 프리마켓입니다.
물건을 만들어 판매하거나 도매상에게 물건을 구입하여 판매하는 곳이 바로 프리마켓입니다. 처음부터 매장을 오픈하는 것보다 프리마켓에서 먼저 도전해 보고 시장이 돌아가는 것에 대해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프리마켓은 중고 물품을 파는 벼룩시장에서 발전하여 지금은 자신이 만든 물건을 팔거나 물건을 구입하여 판매합니다.
프리마켓의 장점은 현금장사로 사업자등록을 따로 하지 않고 내가 만든 물건을 파는 경우가 많으며, 소자본으로 시작 가능하기 때문에 유행처럼 마켓이 많이 생겨났습니다. 처음에는 핸드메이드를 파는 곳이 많았지만 요즘엔 도매상에게 물건을 구매하여 프리마켓에 나오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경기가 힘들어지면서 점포가 필요 없고 현금장사이기 때문에 현금 확보가 쉬운 점이 사람들을 끌어들인듯합니다.
프리마켓은 보통 주말에 열리는 곳이 많으며 자신의 가게를 가지고 있으며 홍보하기 위해서 참여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프리마켓에서 물건을 파는 경우는 보통 2가지로 핸드메이드와 사입(도매상에게 물건을 구입)입니다.
물건을 만들어서 판매하면 마진은 높으나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어갑니다.
물건을 사입 하면 구매 비용이 많이 들며 재고관리가 힘들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유동인구를 계산하여 프리마켓이 열리지만 참여시간이 긴 경우가 많아 인건비를 계산했을 때 손해인 경우도 많습니다.
마켓에 진열되는 물건은 보통 자신의 취향이 반영되는데 물건이 잘 팔릴 수도 있지만 하나도 팔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프리마켓은 마켓마다 특성이 있어 자신이 팔 물건이 그 마켓에 맞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어린아이가 있는 주부가 주 고객층인 마켓도 있고, 10대 학생들이 주 고객층인 곳도 있습니다. 어떤 고객층이 확보되어있는지는 미리 가서 확인해보거나 참여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동 용품이 잘 나가는 곳 액세서리가 잘 나가는 곳은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곳에서 잘 되었다고 다른 곳 가서 잘 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프리마켓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겨울이 되면 실내에서 여는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열리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리마켓만으로는 먹고살기 힘듭니다.
실제로 판매자들이 일을 그만두고 기세 좋게 뛰어들었다가 다시 직장을 구하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하루 종일 외부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체력적으로도 힘듭니다.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프리마켓을 하려는 이유는 현금장사(요즘은 카드가 되는 곳도 많지만 대부분 현금을 많이 사용합니다.)이며, 세금을 내지 않고, 일할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매일 하는 것이 아니기에 가게보다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공방+프리마켓, 가게+프리마켓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리마켓은 자리 배치가 매우 중요하며 셀러 모집이 마감되면 참가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수익이 높지 않아도 자신의 가게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나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장사가 잘되어 프리마켓 만으로도 생활에 지장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프리마켓에 참가해 보면 장소를 잘 선점한 주최자는 꾸준한 수익을 올리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장사가 잘 되든 안 되든 수수료를 받습니다. 본인이 발이 넓거나 지원받을 수 있는 확신이 있다면 주최자가 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프리마켓을 참가해보고 느낀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다르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본인이 직접 체험해 보는 것입니다.
'초보 사장님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회계프로그램 추천 (0) | 2018.06.18 |
---|---|
사무실 개업 준비과정 (0) | 2018.06.11 |
인터넷 판매를 위한 통신판매업 신고증 발급받기 (0) | 2018.06.05 |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점 알아보기 (0) | 2018.05.25 |
사업자등록증 발급하기 (0) | 201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