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 2부 소비는 감정이다.

 

지난번 자본주의 1부에 이어 2부 내용입니다.

☞ 2018/06/08 - [경제 가이드] - 자본주의 - 1부 돈은 빚이다.

 

5부로 이루어진 다큐는 시간을 내어 시청하시면 가장 좋지만 시간이 없다면 요약본이나 1, 2부만이라도 보면 도움이 됩니다.

2부에서 다루어지는 이야기는 "소비는 감정이다"입니다.
우리는 소비할 때 어떻게 소비하나요? 마케터들은 우리를 어떻게 유혹하여 물건을 사게 만드는 것일까요?
 
물건을 소비하게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입니다. 음악 소리로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기도 하고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미각 등 우리의 감각을 자극하여 소비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중에 강력한 소비가 일어나는 물건일수록 더 많은 감각을 자극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소비할 때 어릴 때부터 사용해온 특정한 상품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기업은 미래의 잠재적인 고객에게 어릴 때부터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아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습니다아이들이 그 상품만 찾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광고를 보면서 최면에 걸립니다마케터는 내가 어렸을 때 먹던 과자를 어른이 된 지금도 선호하게 합니다. 그리고 그걸 내 아이에게도 먹입니다. 이렇게 습관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마케터가 아이들에게 접근하는 건 아이들이 아니라 가족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성인 마케팅에 주 타깃은 여성으로 소비에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나약하며 여성은 현장에 있지 않은 사람의 물건까지도 삽니다. 마켓에 있는 cctv는 보안만이 아닌 마케터가 보고 분석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고객이 쇼핑하는 모습을 관찰하여 우리를 조정합니다.
오른손잡이인 나는 언제나 좌회전을 하고 있고, 가다 보면 자꾸 무언가에 걸려 천천히 가게 되고, 엘리베이터는 어디 있는지 찾을 수가 없고, 1층엔 화장실도 없으며 카트의 크기는 자꾸 커집니다.
 
쇼핑은 무의식을 조정하여 일어납니다.
우리가 쇼핑할 때는 합리적으로 의식적인 상태(알파)에서 하기보다 뇌의 베타 상태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식은 빙산의 일각으로 95% 이상이 무의식입니다. 무의식이 대부분 다 결정합니다. 의식이 결정하는 건 거의 없습니다.
나도 모르게 옛날에 먹었던 과자를 사게 되고 그 물건을 사면 나도 모르게 살이 빠질 것 같고 마트에 가면 나도 모르게 좌회전하고 있고 일단 한번 먹어보면 나도 모르게 사게 되고 여러 가지 합리화가 일어나면서 내 의식이 무의식이 하고자 하는 소비를 점차 합리화시킵니다. 한마디로 소비는 무의식으로 물건을 사고 의식을 합리화합니다.

현대사회는 소비를 부추기는 사회로 자꾸 노출하여 사고 싶게 만듭니다.
그중에서도 무의식 마케팅의 정점은 브랜드입니다.
브랜드는 사람의 감정을 부추겨 사람들의 감정을 사로잡아 물건을 파는 감정 마케팅입니다.
우리가 그걸 이상적인 판단을 한다고 착각하고 있는 것이지 결국 지배하는 것은 감정입니다.
생존 소비<생활소비<과소비<중독
과소비 지수의 적정 소비는 0.6로 아래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과소비적 인지에서 소비의 4가지 유형은 첫째는 없어서 두 번째는 망가져서 세 번째는 가지고 있지만 더 좋아 보여서 네 번째는 그냥입니다물건을 가지고 있어도 내가 이걸 가지면 더 멋있어질 거라든지 조금 새로운 것이기 때문에 내가 사봐야겠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인간이 소비할 때는 불안할 때, 우울할 때, 화가 났을 때라고 합니다. 우리의 감정을 자극하여 충동적으로 소비합니다.
소비는 불안에서 시작합니다. 사회적인 배척을 당했을 때 이를 보완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 다른 사람에게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 소비가 늘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느끼는 것이 외로움으로 소속감을 가지기 위해 또래집단의 선호도가 청소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카드를 사용하여 소비하게 될 때는 카드를 냈다가 다시 돌려받기 때문에 손실로 느끼지 않아 고통을 적게 느껴 뇌가 착각하게 되어 과소비하게 됩니다. 자신들이 깨닫지 못하는 사이 슬픈 감정을 느낄 때면 평소보다 더 간절히 물건이 갖고 싶어지고 그래서 더 많은 돈을 내려고 합니다. 상실감이 크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그 빈자리를 채우려고 합니다.
그러나 똑같은 공격을 받아도 누구는 과소비하고 누구는 하지 않습니다. 이는 어렸을 때 형성되는 자존감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으면 현실 자아와 이상 자아 간의 차이가 커 그 간극을 메우기 위해 더 많이 소비합니다.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끼는 긍정적인 부분이 클수록 합리적인 소비가 일어납니다

소비를 제어하는 데는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보다 자세한 이야기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