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은 예치기간이 길수록 좋을까? 매년 재예치하는 것이 좋을까?
지난번 예금, 적금 계산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습니다.
적금으로 시작해서 예금으로 변경하면 좋다고 말입니다.
그런데 예금을 할 때는 장기간 예치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1년마다 재예치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원금 1천만원을 기준으로 연 2% 단리 1년마다 재예치하여 5년 후 금액입니다.
원금 |
이자 |
세금 |
이자-세금 |
만기지급액 | |
1년 |
10,000,000 |
200,000 |
30,800 |
169,200 |
10,169,200 |
2년 |
10,169,200 |
203,384 |
31,321 |
172,063 |
10,341,263 |
3년 |
10,341,263 |
206,825 |
31,851 |
174,974 |
10,516,237 |
4년 |
10,516,237 |
210,325 |
32,390 |
177,935 |
10,694,172 |
5년 |
10,694,172 |
213,883 |
32,938 |
180,945 |
10,875,117 |
원금 1천만원 기준으로 연 2% 단리 5년 예치했을 때입니다.
|
원금 |
이자 |
세금 |
이자-세금 |
만기지급액 |
5년 |
10,000,000 |
1,000,000 |
154,000 |
846,000 |
10,846,000 |
이자가 2%로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이야기입니다.
1년마다 재예치하는 것이 이자가 조금 더 높습니다. 복리효과를 내기 때문입니다.
단 원금 + 이자 모두를 재예치해야만 합니다.
원금만 재예치하고 이자를 모두 써버린다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렇게 보면 무조건 1년마다 재예치하는 게 좋다고 느껴지실 겁니다.
하지만 예금도 금융시장의 흐름에 따라야 합니다.
지금처럼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일 땐 1년마다 재예치 하는 것이 좋습니다.
1년 후 금리가 상승해서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금리가 하락하는 시기일 땐 이자가 높은 현재 기준으로 5년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금만 하더라도 금융시장의 흐름을 알아야 합니다.
시간이 부족하다면 신문 헤드라인이라도 체크하는 습관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경제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 알아보기 (0) | 2018.05.09 |
---|---|
인터넷으로 외화 거래하기 (0) | 2018.05.01 |
금에 투자하는 방법 (0) | 2018.04.25 |
예금, 적금 계산하는 방법 (0) | 2018.04.20 |
인구 절벽? 지방 소멸? (0) | 2018.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