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미래직업?
최근 4차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세바시, TED, 유튜브 등 다양한 곳에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주식방송에서도 4차 산업을 중요하게 다룹니다.
4차 산업, 그중에서도 인공지능(로봇, 자율주행차 등)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인공지능이 발달할수록 여러 가지 논의가 오고 갑니다. 그 이유는 사람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3차 산업때 사람이 하는 신체적으로 힘든 일은 기계가 대체했습니다.
4차 산업은 사람이 하는 정신적으로 힘든 일을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입니다.
일이 없어지면 새로운 일자리도 생기지만 인공지능과 협력하여 새로운 일을 한다는 건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인공지능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많은 사람들이 실직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로봇이 찍어내는 물건을 살 사람이 필요해지고 그러려면 국민들에게 돈이 있어야 됩니다.
그래서 국가나 지식인 층에서는 보편적 기본소득을 논의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소득은 기업이 인공지능과 로봇을 이용하여 물건을 만들어 내고 판매한 돈을 국가에 세금으로 내고 다시 그 세금을 기본소득으로 국민에게 주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돈은 국가에서 줄 테니 당신은 쓰기만 하세요"란 뜻입니다.
돈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주어진다면 과연 좋기만 할까요? 그렇게 된다면 국가는 소득에 따라 지원되던 복지를 계속 신경 쓸까요? 나라가 복지 정책에 쓰는 돈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기본소득을 준다면 똑같은 돈을 줄 테니 어떻게 쓰던지 상관하지 않게 되겠지요. 오히려 국가 입장에서는 복지에 들어가는 인력과 예산이 줄어들어 이득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국민에게 똑같은 기본소득이 주어지면 다 해결되는 일일까요?
여기서 유발 하라리가 TED에서 "국가주의 vs 세계화 : 새로운 정치적 분열"이란 주제로 강의한 한 부분을 옮깁니다.
"로봇과 알고리즘이 일자리를 빼앗을 것입니다.
대학과 연구실에서는 이것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정치와 대중들은 10~20년 안에 거대한 기술적 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걸 모릅니다.
학교가 지금 가르치고 있는 것은 2040~2050년 노동시장에는 완전히 무용지물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2040년의 고민할 것이 아니라 지금 젊은이들에게 뭘 가르칠지 고민해야 합니다.
과거 농업혁명 때도 소수의 엘리트의 삶은 나아졌지만 다수의 사람들의 삶은 상당히 악화되었습니다.
이 일은 21세기에 다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목격되는 건 인간에게서 알고리즘으로 권한이 옮겨가고 있습니다."
그 해결책으로 보편적 기본소득을 이야기합니다.
"3D 프린팅과 로봇으로 방글라데시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갔습니다.
그런데 구글, 애플에서 세금을 받은 미국에서 방글라데시 실업자들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해줄까요?
그렇기 때문에 국가적 기본소득이 아닌 전 세계적인 기본 소득이 있지 않고서야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기본소득도 문제가 됩니다. 기본의 기준은 어디일까요?
만약 120세까지 살수 있는 약이 개발되었는데 그 약은 기본소득에 포함될까요?
사람들이 고용될 능력을 잃어버리는 세상에서는 그들이 받을 수 있는 거라고는 기본소득뿐이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강의 내용은 TED나 유튜브에서 검색해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생각보다 기본소득을 논의하는 나라가 많습니다.
2016년 스위스는 월 300만원 기본소득안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나 77%의 반대로 부결된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였지만, 기본소득안을 논의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가 상품을 사려고 검색하면 내가 그 상품을 클릭하지도 않았는데 나의 관심사로 메일 또는 광고 팝업창으로 우리에게 전달되는 일을 목격합니다.
이는 우리 일상생활에 많은 부분이 이미 알고리즘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인공지능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과학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발전해 나갈 겁니다.
그때를 대비하여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뜻한 물을 마시면 좋은 이유 (0) | 2018.05.31 |
---|---|
시간관리의 중요성 (0) | 2018.05.28 |
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팁 2 (0) | 2018.05.17 |
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팁 1 (0) | 2018.05.03 |
영어 공부하기 (0) | 2018.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