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2
 
사회 초년생이 알아두면 좋은 직장생활 팁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지난번에 다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이어서 해볼까 합니다.

☞ 2018/05/03 - [잡다한 이야기] - 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팁 1



1. 도움을 받았다면 감사 인사 꼭 하기
일을 하다 보면 도움받을 일이 많습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에겐 더욱 그렇습니다. 작은 도움이지만 나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부끄럽다고 아니면 말할 타이밍을 놓쳤다고 감사 인사를 안 하는 또는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도움을 받았다면 늦게라도 감사 인사를 전해야 합니다.
도움을 주는 사람은 선의에서 도움을 줄 수도 있고 필요에 의해서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 사람이 어떤 마음에서 도움을 준 것과 상관없이 일단 도움받은 것은 감사 인사를 꼭 해야 합니다.
그것이 크던 작던 감사한 마음을 전달한다면 본인도 기분 좋고 도움을 준 사람도 기분 좋게 하여 다음에 도움을 요청하기도 수월합니다. 작은 감사 인사 한마디가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2. 일을 시킨 상사에게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기간 물어보기 또는 언제까지 해야 할지 기간 정하기
처음 회사에 들어가서 일을 하게 되면 상사가 일거리를 주면서 언제까지 하라고 먼저 말해줍니다.

하지만 바쁜 일이니 그냥 빨리 해달라고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럴 때는 일단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기간을 꼭 물어봐야 합니다. 많이 급한 일인지 아니면 바쁘다고는 했지만 어느 정도의 시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일의 스케줄을 잡을 때도 좋고, 다른 일을 요청받을때 말하기도 좋습니다.
그리고 기간을 잡을 때는 내 예상 시간보다 넉넉하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일을 하다 보면 예상시간보다 늦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기간이 짧을 때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감안하셔서 기간을 정하시길 바랍니다. 말했다면 지켜야 하고 기간 내 하지 못할 것 같다면 미리 양해를 구하여 도움을 요청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3. 경력은 2년 이상만약 진급을 앞두고 있다면 진급한 후 퇴사하기
회사에 입사하여 배울 것도 있고 할만하다고 생각되면 일단 2년은 다녀보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일을 하다 보면 처음 마음과 다르게 매일 사표를 쓰고 싶은 순간이 올 겁니다.
하지만 1년은 좀 짧고 2년 정도를 해야 그래도 경력자로 인정해주는 곳이 많습니다.
이 일이 아니라고 생각되면 차라리 일찍 옮기시는 것이 좋고 그렇지 않다면 2년 정도는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2년이 되지 않아 경력직이 아닌 신입사원 급여를 받고 다시 시작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2년 정도는 해야지 이런저런 경험을 해보게 됩니다. 그리고 진급을 앞두고 있다면 진급을 하신 후 퇴사하시길 바랍니다. 진급을 하고 퇴사를 했다면 옮긴 회사에서도 같은 대우를 해주는 경우가 많지만 진급이 바로 앞이었어도 진급하지 않고 이직한다면 현재 직급의 대우를 받습니다. 진급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반드시 진급 후 이직이나 퇴사하시길 바랍니다.
 
4. 뒷담화 하지 않기
사실 회사생활에서 공공의 적에게 하는 뒷담화는 스트레스 풀기에 좋습니다.
또 같은 상사 밑에 있다면 친구들이 해주지 못하는 공감대도 형성됩니다.
하지만 뒷담화는 결국 좋지 못한 결과를 불러옵니다. 뒷담화를 굳이 먼저 할 필요도 없고, 동조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뒷담화하는 데서 저는 그런 이야기 싫어한다면서 칼같이 자르기는 힘듭니다. 분위기가 이상해질 수도 있고 다른 곳에서 내 뒷담화를 할 수도 있으니까요. 그럴 때는 그냥 이야기의 주제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몇 번 그런 일이 있으면 나에게 와서 뒷담화를 하지 않겠지요
뒷담화를 해서 스트레스를 풀 수는 있겠지만 남의 뒷담화를 하고 다닌다면 본인 뒤에서 뒷담화를 듣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직원이 많은 곳은 소문도 잘나고, 카더라 통신도 많습니다말은 특히 주의하여 하시길 바랍니다.
직장 사람들은 동료이긴 하지만 친구는 아닙니다.
 
5. 일을 맡았다면 결과가 빨리 나오지 않더라도 중간보고하기
일을 맡았을 때 바로 일 처리가 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일이 다 끝나고 보고를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기간이 길어질 때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으면 상대방에서는 그 일을 하고 있는지 의심할 것입니다.
자신이 시킨 일을 잊어버린 것은 아닌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기다리다가 일이 어떻게 됐는지 물어볼 때 아직 하고 있다는 답변이 돌아온다면 어떻게 생각할까요? 일 잘하고 있구나라고 생각할 사람은 별로 없을 듯합니다.
일이 길어진다면 결과에 상관없이 중간보고를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결과가 나오면 결국엔 다 좋겠지만, 나쁜 결과가 나온다면 미리 대비할 시간을 잃어버리게 되어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일의 경과는 자세히 적어두되 중간에 간단히 진행사항을 보고하면 좋습니다.
 
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팁은 제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느낀 점들을 적은 것이라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것은 지키시고 자신에게 맞는 팁을 선별하여 적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관리의 중요성  (0) 2018.05.28
인공지능? 미래직업?  (0) 2018.05.18
사회 초년생 직장생활 팁 1  (0) 2018.05.03
영어 공부하기  (0) 2018.05.02
아트부산 2018 후기  (0) 2018.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