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사장님이 흔히 하는 착각
사업을 시작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모든 사람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하지 실패를 예상하고 사업을 하지는 않습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타이밍을 놓치기 전에 출시하려고 서둘러 사업을 시작하고 성공을 기대합니다.
사업장 위치도 좋은 곳으로 알아보며 비싼 돈을 들여 인테리어를 다시 하고 남보기에 그럴듯하게 시작하고 싶어 합니다.
이 아이디어면 금방이라도 부자가 될 것 같은 생각에 서둘러 사무실을 계약합니다.
하지만 내가 획기적이라고 생각했던 아이디어는 생각보다 흔히 있는 아이디어 일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너무 앞서나가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외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디어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 가보면 비슷한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 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 아이디어가 시중에 나와 있는지 검색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디어가 시중에 나와 있더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처음 본 아이디어는 시장에 확산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정작 유행했을 때는 지쳐 포기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건 꼭 성공하리라 생각했던 아이디어가 성공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봐야 할 것은 나만의 취향인 건 아닌지? 다른 사람은 이 물건을 좋아할 것인지를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처음부터 사업장을 내고 근사하게 시작하기보단 집이나 직장에서 먼저 이 물건이 팔리는지 시험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피드백을 받아서 물건이 어느 정도 팔린다고 판단되면 그때 사업장을 차려도 늦지 않습니다.
내 아이디어가 언제 세상에 빛을 볼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자금을 아껴야 합니다.
여기서 제 이야기를 하자면 예전에 지인이 사업을 시작하고 좋은 사무실을 얻었으니 한번 놀러 오라고 하여 가게 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일신상의 이유로 쉬고 있었기에 지인은 시간이 되면 와서 공부도 하고 가끔 자신을 도와달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사업 초기 단계였기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듯했고 저도 몇 년 후 사업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던지라 흔쾌히 그렇게 하겠다고 했습니다.
지인은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사무실 임대료는 매달 꼬박꼬박 나갔고 최대한으로 줄였지만 부대 비용도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지인은 수익이 없다 보니 조급증이 들었던 거 같습니다. 그래서 몇 가지 아이템을 더 준비하기 시작했지요.
그중에는 제가 예전에 만들어 선물한 물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디자인한 물건이 있었는데 제 아이디어이니 같이 동업해보자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 건에 한해서 동업을 하고 시제품을 만들었지만 판매 상품으로써의 가치는 없었습니다.
다시 만들어야 했지요. 그러다가 결국엔 자금 부족을 견디지 못한 채 다시 취직을 해야만 했습니다.
초보 사장님들이 흔히 하는 착각은 사무실만 열면, 아이디어만 좋으면, 내가 열심히만 하면 금방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막상 물건 하나 파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내 물건을 알리기 위해, 내 사이트를 알리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과다하게 쓰다가 그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사업을 그만두기도 합니다.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선 적어도 6개월~1년은 수입이 없어도 먹고 살수 있는 자금을 만든 뒤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야 내가 생각한대로 밀고 나갈 수 있습니다.
원래 가지고 있던 직업을 유지하면서 사업을 시작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실패했을 때에는 리스크를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그래야 다시 시작하여 결국엔 성공한 사업자가 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초보 사장님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실(가게) 구하기 (0) | 2018.05.14 |
---|---|
로고 만들기 (0) | 2018.05.07 |
상호 정하기 (0) | 2018.04.26 |
재직자 무료 국비지원교육 받기 (0) | 2018.04.03 |
퇴직하고 카페나(혹은 식당이나) 차려 볼까? (0) | 201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