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용어 알아보기
주식 용어 알아보기
주식을 시작하려고 마음먹었다면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정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주식이 있기 때문에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막막합니다.
주식 기업 정보를 조회하면 모르는 단어가 가득합니다.
주식을 투자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주식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EPS : 주당순이익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말하며, 당기순이익을 평균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됩니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주당순이익은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수치로 PER 계산의 기초가 됩니다.
예시)
당기순이익 : 100,000,000원 유통 주식수 : 10,000주
EPS(주당순이익) = 100,000,000원 / 10,000주 = 10,000원
즉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BPS : 주당순자산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순자산을 말하며,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당순자산은 기업의 자산 충실도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여기서 순자산은 기업의 자기자본(총자산-총부채)에서 무형고정자산(특허권, 영업권), 이연자산(창업비, 개업비, 신주발행비, 사채발행비, 연구개발비) 및 사회유출분(배당금, 임원상여금)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주당순자산이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
기업 순자산 : 100,000,000원 발행 주식수 : 10,000주
BPS(주당순자산) = 100,000,000원 / 10,000주 = 10,000원
즉 BPS가 높을수록 주당순자산의 청산가치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PER : 주가수익률
PER(price earning ratio)는 주가수익률을 말하며,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주가수익률은 주식의 시장가치를 최근 12개월 동안의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눔으로써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수익력에 비해 주가가 몇 배인가를 표시함으로써 기업의 수익 가치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알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투자하는 자료가 됩니다.
예시)
주가 100,000원 주당순이익(EPS) : 10,000원
PER(주가수익률) = 100,000원 / 10,000원 = 10
즉 PER이 높을수록 기업의 먼 미래의 이익까지 이미 주가에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됩니다.
그래서 PER이 낮은 주식은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업종PER
업종PER이 필요한 이유는 전기 전자 부분과 보험업 주가의 PER이 10으로 동일하다고 해도 그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PE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주식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업종PER도 회사 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BR : 주가순자산비율
PBR(price on book-value ratio)는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하며,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장부상의 가치로 청산 시 주주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예시)
주가 10,000원 주당순자산(대차대조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자산) : 10,000원
PBR(주가순자산비율) = 10,000원 / 10,000원 = 1
즉 PBR 수치가 낮으면 주가가 자산 가치보다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며,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습니다.